본문 바로가기

언리얼러닝/교육

git 중복 index

요 상황, 원인 거의 확실해요:

  1. 파일명 대소문자 불일치
    집 PC(Windows)는 파일시스템이 대소문자 구분을 안 해서 tetris.md ↔ TETRIS.MD 같은 케이스만 바뀐 변경을 Git이 제대로 못 잡을 때가 많습니다. GUI(SourceTree)는 더 헷갈리고요.
    지금 git status에 modified: TETRIS.MD 가 남아 있고, 터미널에서 git commit tetris.md -m ... 하니 푸시가 된 걸 보면, 커밋은 됐지만 케이스/개행 문제 때문에 계속 변경으로 보이는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2. 개행(CRLF/LF) 차이
    Windows에서 개행만 달라도 변경으로 보입니다. .gitattributes가 없으면 더 자주 겪어요.

빠른 해결 루트 (권장)

A. 실제로 저장소에 기록된 “정확한 파일명 케이스” 확인

 
git ls-files --stage | findstr /I tetris.md

여기 출력에 보이는 정확한 케이스를 기준으로 맞춰줄 겁니다(예: tetris.md).

B. 케이스만 바꾸는 rename 강제 반영

Windows에선 강제로 두 번 mv 하는 게 안전합니다.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 케이스 추적 켜기(저장소 로컬 설정) git mv -f TETRIS.MD tetris.tmp git mv -f tetris.tmp tetris.md # 원하는 최종 케이스로 git commit -m "Fix filename case for tetris.md" git push

이미 올바른 케이스라면 위 단계에서 첫 줄만 해도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C. 개행 문제까지 정리(.gitattributes 추가)

저장소 루트에 .gitattributes 만들거나 수정:

 
* text=auto *.md text eol=lf

적용:

 
git add .gitattributes git add --renormalize . git commit -m "Normalize line endings" git push

왜 SourceTree에서는 안 됐나?

로그에 이런 줄이 보여요:

 
git -c user.useConfigOnly=true commit --quiet --allow-empty-message --file -

메시지 없이 커밋을 시도했고(allow-empty-message), 동시에 케이스/개행 차이로 인덱스에 정상 반영이 안 된 상태라 GUI가 “변경 없음”으로 처리했을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git commit <path> -m ... 하면 해당 파일을 그대로 인덱스에 올려 커밋하기 때문에 통과한 거고요.


체크리스트 (문제 재발 방지)

  • core.ignorecase: Windows에선 저장소마다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해두면 케이스 변경 추적이 잘 됩니다.
  • .gitattributes: 위 설정처럼 두면 개행으로 인한 “유령 변경” 줄어듭니다.
  • 파일명 케이스 정리: 팀원 간에 하나로 통일(예: 전부 소문자). 케이스 변경은 항상 git mv로.
  • GUI 꼬일 때: SourceTree 새로고침 후에도 남으면 git status, git diff로 실제 변경 확인 → 필요하면 git reset --hard HEAD로 취소(로컬 변경 버림, 주의) 또는 git clean -fdx(추적 안 되는 파일 삭제, 주의).

원하시면 제가 지금 상태에서 정확히 어떤 단계가 필요한지(A/B/C 중 무엇) 출력 결과 기준으로 딱 맞춰 드릴게요. git ls-files --stage | findstr /I tetris.md 결과만 붙여 주세요.

나의 말:

PS D:\git\Codyssey> git ls-files --stage | findstr /I tetris.md 100644 85421556040acb12b6b307c4ac2b7b4375bbb8ea 0 proj1/p5s2/TETRIS.MD 100644 85421556040acb12b6b307c4ac2b7b4375bbb8ea 0 proj1/p5s2/tetris.md

ChatGPT의 말:

 
23s 동안 생각함

오! 출력이 핵심을 말해줍니다:

 
proj1/p5s2/TETRIS.MD proj1/p5s2/tetris.md

같은 파일(해시도 같음)이 두 개의 경로(대소문자만 다른 경로)로 동시에 인덱스에 올라가 있어요. Windows(대소문자 미구분 FS)에서 흔히 터지는 케이스 충돌이고, 이러면 GUI/CLI가 계속 “modified”처럼 보이거나 커밋/푸시에 삐걱거립니다.

아래 순서로 하나의 이름(tetris.md)만 남도록 정리하세요. (저장소 루트 D:\git\Codyssey에서 실행)


1) 케이스 추적 켜기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2) 케이스 충돌 깨기 → 임시 이름으로 강제 rename

 
git mv -f proj1/p5s2/TETRIS.MD proj1/p5s2/tetris_casefix.tmp

3) 남아있는 “가짜” 인덱스 항목 제거(있으면)

 
git rm --cached proj1/p5s2/tetris.md # 없으면 에러 떠도 무시해도 됨

4) 최종 이름으로 다시 rename

 
git mv -f proj1/p5s2/tetris_casefix.tmp proj1/p5s2/tetris.md

5) 커밋/푸시

 
git commit -m "Normalize filename casing: TETRIS.MD -> tetris.md" git push

6) 확인

 
git ls-files | findstr /I tetris.md

이제 단 한 줄(proj1/p5s2/tetris.md)만 보여야 정상입니다.


재발 방지(강추)

  1. 팀 규칙으로 파일명 케이스 통일(예: 전부 소문자). 케이스 변경은 반드시 git mv로.
  2. 루트에 .gitattributes 추가해 개행도 정리:적용:
  3.  
    git add .gitattributes git add --renormalize . git commit -m "Add .gitattributes and normalize line endings" git push
  4.  
    * text=auto *.md text eol=lf

만약 위 절차 중 메시지가 헷갈리면, 실행 결과를 붙여주면 바로 다음 스텝 짚어드릴게요.

나의 말:

하라는 대로 다 했어 PS D:\git\Codyssey> git status On branch main Your branch is ahead of 'origin/main' by 1 commit. (use "git push" to publish your local commits)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rm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restore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deleted: pre2/readme.md Untracked files: (use "git add <file>..."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 pre2/README.md no changes added to commit (use "git add" and/or "git commit -a")

ChatGPT의 말:

좋습니다 👍 이제는 tetris.md 케이스 문제는 해결되었고, 대신 다른 케이스 충돌이 터졌네요:

git status 결과를 보면

 
deleted: pre2/readme.md Untracked files: pre2/README.md

즉, 윈도우 파일시스템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데 Git 인덱스에는 readme.md 가 올라가 있고, 실제 워킹 디렉토리에는 README.md 가 존재해서 Git이 헷갈리는 상황입니다. 아까 TETRIS.MD처럼 케이스 통일을 해줘야 합니다.


해결 절차

1) 케이스 추적 켜기 (혹시 꺼져있을 수도 있으니 다시 실행)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2) 임시 이름으로 바꾸기

 
git mv -f pre2/readme.md pre2/readme_casefix.tmp

3) 원하는 최종 이름으로

팀에서 쓰기로 한 표준에 맞추세요. (보통 대문자 README.md 권장)

 
git mv -f pre2/readme_casefix.tmp pre2/README.md

4) 커밋/푸시

 
git commit -m "Normalize filename casing: readme.md -> README.md" git push

확인

 
git ls-files | findstr /I readme.md

여기서 이제는 pre2/README.md 딱 한 줄만 보여야 정상입니다.


👉 정리하면, 이번에도 tetris.md와 똑같은 대소문자 중복 인덱싱 문제고, 해결 방법도 동일합니다.

원하시는 케이스 규칙(전부 소문자 or 전부 대문자)을 알려주시면, 앞으로 .gitattributes에 같이 정리하는 방법까지 안내드릴까요?

나의 말:

PS D:\git\Codyssey> git ls-files | findstr /I readme.md README.md pre1/README.md pre1/david/README.md pre2/README.md proj1/README.md proj1/p1s1/README.md proj1/p1s2/README.md proj1/p1s3/README.md proj1/p2s1/README.md proj1/p2s3/README.md proj1/p4s1/README.md proj2/README.md PS D:\git\Codyssey>

ChatGPT의 말:

 
4초 동안 생각함

완료됐네요! 👍
git ls-files에 보면 이제 모두 README.md 한 가지 케이스로만 추적되고 있고, pre2/README.md도 정상 등록돼 있어요. (중복/충돌 없음)

이제 마무리만 하면 됩니다.

마무리 체크리스트

  1. 상태 확인
 
git status
  • 만약 On branch main 과 함께 **“ahead by N commit(s)”**만 보이면 → 바로 푸시:
 
git push
  1. 혹시 개행 때문에 “modified”가 뜨면(케이스 말고 내용 변화 없음인데 계속 바뀌었다고 뜰 때):
 
git add --renormalize . git commit -m "Normalize line endings" git push

재발 방지(요약)

  • 이 저장소에 이미 해둔 것처럼:(Windows에선 저장소 단위로만 쓰는 걸 권장)
  •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 .gitattributes 유지:케이스 변경은 항상 git mv로 하세요.
  •  
    * text=auto *.md text eol=lf

추가로 git status 출력만 붙여주시면, 지금 당장 푸시가 필요한지/더 정리할 게 있는지 마지막으로 딱 확인해 드릴게요.

나의 말:

PS D:\git\Codyssey> git status On branch main Your branch is ahead of 'origin/main' by 2 commits. (use "git push" to publish your local commits)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ChatGPT의 말:

아주 깔끔합니다 🎉

 
On branch main Your branch is ahead of 'origin/main' by 2 commits.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 워킹 트리도 깨끗하고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 로컬에만 있고 아직 원격(origin/main)으로 안 올라간 커밋이 2개 있다는 뜻이에요.

다음 할 일

그냥 푸시만 해주면 끝납니다:

 
git push

그러면 원격 main 브랜치와 동기화되고, 이제 더 이상 GUI/CLI에서 케이스 충돌이나 “유령 변경” 문제는 안 나올 거예요.


👉 정리하자면:

  • tetris.md/TETRIS.MD 문제 해결 ✅
  • readme.md/README.md 문제 해결 ✅
  • 워킹 트리 깨끗 ✅
  • 커밋만 푸시하면 끝 ✅

혹시 제가 .gitattributes 예시로 드린 개행 정리까지 적용하시겠어요? (CRLF/LF 섞여 있을 때 또 “modified”가 뜨는 걸 예방합니다)

나의 말:

중복 index라는게 뭐지

ChatGPT의 말:

좋은 질문이에요 👍
제가 earlier에 말씀드린 “중복 index”라는 표현은 Git 인덱스(stage)에 같은 파일이 *다른 경로(대소문자 차이)*로 두 번 올라간 상태를 가리킵니다.


Git 구조 다시 정리

  • 워킹 디렉토리: 실제 파일들이 있는 곳 (Windows의 NTFS, macOS의 HFS+, Linux ext4 등).
  • 인덱스(staging area): 커밋하기 전에 Git이 “어떤 파일을 어떤 이름으로 올릴까?” 하고 잠깐 보관하는 목록.
  • 리포지토리(.git/objects): 최종 커밋이 저장되는 곳.

보통 인덱스에는 하나의 파일 경로 → 하나의 blob 해시만 있어야 정상이에요.


Windows에서 생기는 문제

Windows NTFS는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 실제 디스크에는 TETRIS.MD 와 tetris.md를 같은 파일로 취급.
  • 그런데 Git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시스템을 가정하고 있어서, 내부 인덱스에는이렇게 두 줄이 생겨버림.
  •  
    proj1/p5s2/TETRIS.MD proj1/p5s2/tetris.md
  • 해시까지 같으니 사실 같은 파일을 두 번 들고 있는 꼴 = 중복 인덱싱.

이 상태에서는:

  • GUI(SourceTree, VSCode)에서는 “어떤 걸 보여줘야 하지?” 하면서 꼬임.
  • git status에서는 “modified”가 끝없이 반복됨.
  • git add/git commit은 파일명을 정확히 지정하면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뒤에서는 여전히 꼬여있음.

그래서 했던 조치

  •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Git이 케이스 차이를 “실제 변경”으로 간주하게끔.
  • git mv -f 두 번 써서 강제로 “임시 이름 →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서 인덱스에 단 하나의 경로만 남게 정리.
  • 이후 커밋/푸시하면 충돌이 해소.

✅ 결론:
**“중복 index”**는 Git 인덱스에 대소문자만 다른 경로가 두 개 이상 동시에 등록된 상태예요. Windows/macOS에서 자주 터지는 문제고, 정리하려면 git mv로 이름을 정확히 정규화해야 합니다.


혹시 원하시면, 제가 간단히 그림으로 “워킹디렉토리 vs 인덱스 vs 저장소” 구조 + 중복 인덱스 상황을 그려드릴까요?

나의 말:

해줘

ChatGPT의 말:

Git에서 중복 인덱스 상황
 
 

여기 그림이 바로 “중복 인덱스” 상황이에요 👇

  • 워킹 디렉토리(실제 파일시스템): Windows NTFS는 대소문자 구분이 안 되니 사실상 TETRIS.MD = tetris.md.
  • Git 인덱스(Stage): 하지만 Git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세계라, 같은 파일을이렇게 두 줄로 동시에 기록해버릴 수 있음 → 중복 인덱스.
  •  
    proj1/p5s2/TETRIS.MD proj1/p5s2/tetris.md
  • Git 저장소(.git/objects): 커밋하면 여기 저장되는데, 케이스가 꼬이면 커밋/푸시 과정에서 충돌이 납니다.

즉, 실제 디스크에는 파일 하나인데 Git 인덱스에는 두 개의 경로가 동시에 등록된 상태가 중복 인덱스입니다.

👉 그래서 아까처럼 git mv -f 두 번 써서 임시 이름을 거쳐 원하는 케이스로 바꿔주면, 인덱스에서 한 줄만 남고 문제 해결이 되는 거죠.

혹시 이 원리 기반으로, “앞으로 팀 전체가 이런 문제 겪지 않게 설정하는 방법(프로젝트 단위 가이드)”까지 정리해드릴까요?

나의 말:

정리해줘

ChatGPT의 말:

좋습니다 👍 제가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을 **“팀 차원에서 재발 방지할 가이드라인”**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Git 대소문자/개행 문제 예방 가이드

1. 기본 원칙

  • Git은 대소문자를 구분(case-sensitive)
  • Windows/macOS 파일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case-insensitive)
    👉 그래서 Windows/macOS 환경에서는 같은 파일을 두 번 인덱싱(중복 인덱스)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 팀 규칙

  1. 파일명 케이스 규칙 통일
    • 보통 README.md, LICENSE 등은 대문자
    • 코드/문서는 전부 소문자 (tetris.md, main.py 등)
    • 변경 시 반드시 git mv를 통해 이름 변경을 반영
    •  
      git mv oldname.md newname.md
  2. 개행(Line ending) 통일
    • .gitattributes 파일을 루트에 추가
    •  
      * text=auto *.md text eol=lf *.py text eol=lf
    • 팀 전체가 같은 규칙을 쓰면 CRLF/LF 차이로 인한 “modified” 유령 변경 방지 가능

3. Git 설정

A. 저장소 단위 설정 (권장)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 이 저장소에서는 케이스 차이를 무시하지 않고 추적
  • 대소문자 변경이 커밋으로 반영됨

B. 글로벌 설정 (개인 선택)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Windows 권장
  • 체크아웃 시 CRLF로 변환, 커밋 시 LF로 변환
  • Linux/Mac 팀원이랑 같이 작업해도 개행 깨지지 않음

4. 문제 발생 시 대응법

  • 중복 인덱스가 생겼다 → git ls-files | findstr <파일명> 확인
  • 두 줄이 뜨면:
  •  
    git mv -f FileName.tmp # 임시 이름 git mv -f FileName.tmp filename.md # 원하는 최종 이름 git commit -m "Normalize filename casing" git push

5. 팀원 합의

  • 반드시 케이스 규칙을 문서화 (예: wiki, README, 개발 가이드라인)
  • 새로 들어온 사람도 같은 설정을 하도록 안내

✅ 이 정도만 해두면 Windows ↔ Linux ↔ Mac 오가며 작업할 때 생기는 케이스/개행 꼬임 문제는 대부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원하시면 제가 .gitattributes 예시를 현재 저장소 구조(README.md 다수, .py 코드 많음) 기준으로 맞춤 버전으로 짜드릴까요?